생활정보 / / 2023. 4. 12. 15:20

건강보험료 조회 및 납부확인서 발급 방법

썸네일

 

연봉이 아무리 높아도 실질적으로 건강보험료 등 과 기타 세금을 공제하면 실제로 손에 들어오는 돈은 많지 않습니다. 이처럼 우리는 매월 건강보험료를 납부하지만 정확하게 얼마를 납부하고 있고 왜 납부하는지 그리고 납부했다는 증명을 위한 납부확인서 발급은 어떻게 하는 것인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건강보험이란?

    국민건강보험제도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민들이 평소에 보험료를 내고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관리 운영 하면서 가계에서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하여 의료비용을 분담하는 제도입니다. 

     

    1. 건강보험 요율

    ▶ 2023년 건강보험료율은 전년 대비 0.1% 인상되었습니다.

     

    구분 2022년 2023년
    건강보험 요율 사업주 : 3.495%
    근로자 : 3.495%
    사업주 : 3.545%
    근로자 : 3.545%

     

    ▶ 2023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전년 대비 0.54% 인상되었습니다.

     

    구분 2022년 2023년
    장기요양보험 요율 사업주 : 6.135%
    근로자 : 6.135%
    사업주 : 6.405%
    근로자 : 6.405%

     

    ※ 직장인이라면 사업자(회사) 근로자(개인)가 50% 보험료를 납부하는 구조입니다.

     

     

    2. 보험료 조회방법

    본인이 납부하고 있는 건강보험료를 조회하는 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 후 메인화면에서 보험료 조회/납부를 클릭합니다.

     

    ② 화면 왼쪽에 직장보험료 조회를 클릭한 뒤 조회 연도를 설정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③ 조회결과가 나오고 직장가입자 보험료 개인별 상세조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납부확인서 발급방법

    건강보험료 납부를 증명하는 납부확인서 역시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 후 메인화면에서 자격득실 확인서 발급을 클릭합니다.

     

    ② 화면 왼쪽에 보험료 납부확인서를 클릭합니다.

     

    ③ 조회 화면이 나오고 발급용도, 국문/영문 선택, 발행일, 세부 보험 항목들을 선택한 뒤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④ 조회결과가 나오고 내용이 이상 없는지 확인한 뒤 출력 버튼을 클릭하면 납부증명서가 발급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