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같은 경우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전에서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고효율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분들께 일정비율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복지제도를 마련했는데 지원대상과 혜택 그리고 신청방법까지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이란?
한전 전기요금 복지할인가구를 대상으로 에너지복지 확대를 위해 고효율 가전제품 구입 시 구매비용의 일정비율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1. 지원대상
①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기존 1 ~ 3등급)
② 국가유공자, 상이유공자, 독립유공자
③ 생계 의료급여 수급자,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주거용 심야전력 사용 기초생활 수급자
④ 사회복지사업법 또는 27개 관련 법률에 의하여 신고된 시설
⑤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장애인복지법, 국민건강보험법, 한부모가족지원법에 의한 차상위계층
⑥ 생명유지장치인 산소발생기 인공호흡기 사용자
⑦ 3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
⑧ 세대원 수 5인 이상 대가족
⑨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인 영아가 포함된 출산가구
2. 지원혜택
▶ 제품 총액의 10 ~ 20% 할인 혜택 (1인당 최대한도 30만 원)
① 10% 할인 혜택 대상자 : 다자녀, 대가족, 출산가구
② 20% 할인 혜택 대상자 : 장애인, 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사회복지시설, 차상위계층, 생명유지장치
3. 지원품목
▶ 아래 11개 품목 에너지소비효율 "등급"과 "적용기준시행일" 2가지 모두 충족하는 가전제품
순번 | 품목 | 등급 | 적용기준시행일 | 공단 | |
1 | 냉장고 | 1 | 21.10.01 | 21.10.01 | |
2 | 김치냉장고 | 1 | 17.07.01 | 17.07.01 | |
3 | 에어컨 | 벽걸이 | 1 | 21.10.01 | 21.10.01 |
그 외 | 1~3 | ||||
4 | 세탁기 | 일반 | 1~2 | 22.11.01 | 22.11.01 |
드럼 | 1 | ||||
5 | 냉온수기 | 저장식 | 1 | 18.01.01 | 18.01.01 |
직수식 | |||||
6 | 전기밥솥 | 1 | 18.04.01 | 18.04.01 | |
7 | 진공 청소기 | 1~3 | 19.01.01 | 19.01.01 | |
8 | 공기청정기 | 1 | 20.03.01 | 20.03.01 | |
9 | TV | 1 | 22.01.01 | 22.01.01 | |
10 | 제습기 | 1 | 16.10.01 | 16.10.01 | |
11 | 의류건조기 | 1 | 20.03.01 | 20.03.01 |
4. 신청방법
▶ 신청방법 : 한전 교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절차 : 대상자확인(고객) > 서류 준비(고객) > 사업 신청 및 계좌 등록(고객) > 서류 검수(한전) > 지원금 지급
▶ 신청서류(복지할인)
① 신청자 본인의 신분증 사본 첨부
② 등급, 모델명, 시행일자가 확인될 수 있도록 제품에 부착된 라벨 정면 사진
③ 제조번호 혹인 시리얼넘버가 보이는 정면 사진
④ 구매자성명, 품목, 모델명, 구매금액, 구매일시, 구매매장명(사업자번호), 직인(서명) 등 구매 내역이 표기된 거래명세서, 구매영수증, 신용카드 매출전표
⑤ 본인 신청이 아닌 "가구원"신청 시 주민등록등본 첨부 필수
▶ 신청서류(사회복지시설)
① 신청자 본인의 신분증 사본 첨부
② 등급, 모델명, 시행일자가 확인될 수 있도록 제품에 부착된 라벨 정면 사진
③ 제조번호 혹인 시리얼넘버가 보이는 정면 사진
④ 구매자성명, 품목, 모델명, 구매금액, 구매일시, 구매매장명(사업자번호), 직인(서명) 등 구매 내역이 표기된 거래명세서, 구매영수증, 신용카드 매출전표
⑤ 사업자등록증 필수
5. 2023년 변경사항 안내
▶ 신청제한 : 다자녀, 대가족, 출산가구 3개 유형은 23년 배정된 기금 예산 69.6억 원을 소진하면 추가 접수가 불가능하며 기타 유형은 기금 예산과 관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 지원비율 : 장애인, 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사회복지시설, 차상위계층, 생명유지 장치 6개 유형은 2023년 1월 1일 이후에 구입한 건에 대해 지원 비율을 10%에서 20%로 상향조정하며 지원 한도는 기존과 동일한 30만 원입니다.
▶ 소급적용 : 22년 12월 31일 이전에 구매한 건에 대해서는 2023년 3월 31일까지만 신청 가능하며 2024년부터는 당해 연도 구입 건만 신청가능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협 국민연금증 카드 종류 및 발급방법, 서비스혜택 (0) | 2023.06.27 |
---|---|
우리 국민연금증 카드 종류 및 발급방법, 서비스 혜택 (0) | 2023.06.27 |
무료 공영주차장 찾는 방법 안내 (0) | 2023.06.26 |
무료 주차 안심번호 서비스 앱 안내 (개인정보 보호) (0) | 2023.06.26 |
이사후 주소변경 원클릭 무료 서비스 (전입신고) (0) | 2023.06.26 |